2013년 5월 16일 목요일

Cross-platform 시대 - "모바일 OS전쟁은 끝났다" (Google I/O 2013 키노트 감상)

어제 Google I/O의 키노트 발표를 보신 분들은 다들 무언가 예년과는 달라졌다는 것을 느꼈을 것이다. 2일간에 걸쳐서 하던 키노트 발표를 하루에 몰아서 하는 식으로 바꾼 것도 있지만, 무엇보다 2010년부터 전통처럼 내려오던 새로운 Android platform 발표가 없었던 것이다. 대신 Android 관련 발표의 핵심은 'Google Play Services'였다. 즉 Google의 주요 관심이 더이상 '새 버전의 Android'가 아니고, 'Android에서 무엇을 할 수 있는가'로 바뀌었음을 의미한다.

여러가지 관점에서 어제 키노트를 바라볼 수 있겠지만, 내게 있어 어제 키노트는 최근 Google이 지향하는 바를 상징적으로 보여준 행사라고 보인다. 그리고 한 단어로 어제 키노트를 요약하자면, 'cross-platform'이다.

Google 서비스의 Cross-platform 지원


Google은 모바일에서 주도권을 장악하고, 인터넷 보급율이나 Google Search 점유율이 떨어지는 국가에 Google Search를 보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전략적으로 Android에 투자를 하고 키워 왔다. 특히 turn-by-turn navigation, Google Now 등 몇가지 새로운 서비스를 Android에서만 독점적으로 제공함으로써, Android의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집중해 왔다.

그러나 Android에 특혜를 주는 전략은 이미 바뀌고 있다. Google Maps와 turn-by-turn navigation은 Android뿐 아니라 iOS에서도 지원된다. Google Now 역시 iOS를 지원한다. 이러한 변화는 어제 새롭게 발표된 것이 아니며, 사실상 이미 시작된 것이다. 어제 키노트에서 발표한 Google Play game services, Hangouts, New Google Maps 등 모두 iOS를 동시에 지원한다고 선언했다. 또 Android와 iOS가 다가 아니다. 음성검색, 대화검색이 이제 웹에서도 가능하다. 결국 Google의 모든 서비스는 "플랫폼이나 OS에 상관없이 모든 기기에서 동일한 UX를 제공하며 완벽하게 동작하는 것"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이제 Android는 Google의 다양한 서비스들을 퍼트리기 위한 하나의 도구이자, 사용 가능한 platform 중의 하나라는 뜻이며, 더이상 Android를 특별대우하지 않겠다는 것을 확인시켜준 것이다.

사실상 Google 외에도 성공적인 서비스들은 대부분 이미 cross-platform을 지원하고 있다. iOS나 Android에서만 돌아가는, 그러면서도 성공적인 앱들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많은 앱들이 서버를 기반으로 대부분의 정보를 클라우드에 두고, 앱에서는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각 OS에 맞는 UX를 제공하는 식으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대부분의 서비스, 앱 개발자들에게 cross-platform이 중요한 화두이며, 관련 개발 툴을 제공하는 회사들도 셀 수 없이 많다. 그러나 툴이 제공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으며, 여러 platform을 지원하려면 노력이 들어가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회사마다 어느 한 OS에 중점을 두고 다른 OS는 부수적으로 지원하거나 기능에 제약이 있는 경우 등 천차만별인 상황이다.

Google 서비스들도 비슷한 상황이었다. 그러나 어제 발표는 Google 서비스들도 향후 cross-platform에 보다 신경을 쓰겠다는 것이다. Play Store의 주요 발표 중 하나는 이제 Android 앱의 UX와 웹의 UX가 동일해졌다는 것이다. 새로운 Maps의 주요 방향 중 하나도 앱과 웹에서 동일한 UX를 제공하는 것이다. Hangouts은 처음부터 cross-platform을 기치로 내걸었다.

모바일 OS전쟁의 궁극적 승자


제목에 "모바일 OS전쟁은 끝났다"고 썼지만, 물론 모바일 OS 전쟁은 끝난 것이 아니다. 앞으로 더 치열하게 진행될 것이고, 현재 시장을 지배하는 Android와 iOS간의 경쟁 외에 3위 OS 위치를 누가 차지할 것인가도 관심거리이다. 그러나, 이미 Android로 이 전쟁에서 승기를 잡은 Google 입장에서는, 이번 키노트를 통해 이미 모바일 OS 전쟁의 종식을 선포한 것과 다름이 없다. 즉 전쟁이 끝난 것은 아니지만 '우리가 질 리도 없고, 사실 누가 이기든 상관없다'는 것이 Google의 자신감이다.

향후 Tizen이나 Firefox OS 등이 성공하더라도, Google로서는 걱정할 필요가 없다. 두 OS 모두 HTML5를 기반으로한 web OS를 추구하고 있고, 이미 HTML5를 기반으로 웹상에서 완벽하게 동작하는 Google 서비스들은 다른 OS에서도 문제없이 동작할 것이기 때문이다. 각 OS의 자체 브라우저가 제대로 동작하지 못한다면, Google은 언제든 이러한 OS에 Chrome 브라우저를 얹을 수 있다.

Google이 아직은 콘텐츠 판매로는 성과를 내고 있지 못하지만, 장기적으로는 Google이 콘텐츠 시장도 지배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Apple의 ecosystem은 Apple 기기들끼리만 서로 호환 가능한 콘텐츠, 서비스로 구성된다. Google은 그렇지 않다. 다시 말해, 콘텐츠를 살 때 Apple의 닫힌 ecosystem 안에서만 쓸 수 있는 콘텐츠를 살 것인가, 모든 기기에서 쓸 수 있는 콘텐츠를 살 것인가 고민하게 된다면, 아무래도 Google이 장기적으로는 힘을 발휘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Google이 Android를 포기한다는 것일까? 그렇게는 보이지 않는다. 아직 스마트폰이 보급되지 않은 국가도 많고, Google 서비스들을 공급하기에 Android는 여전히 가장 매력적인 도구이다. 그리고 역설적으로, 어떤 기기에서도 Google 서비스들이 완벽하게 지원됨으로서, 이러한 서비스들을 맛본 사용자들은 다음번 스마트폰을 고를 때 Android를 고려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가령 아이폰만 계속 써오던 사용자들이 Google Maps의 turn-by-turn navigation과 Google Now의 음성검색에 맛을 들이게 되면, 다음번 스마트폰 구입시에는 이러한 기능들이 좀더 편하게 결합되어 있는 Android 폰에 자연스레 관심이 가게 될 거라는 것이다.

따라서 최소한 향후 몇년간은 Android는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되며, 새로운 기능들을 개발자들과 유저에게 제공하려 노력할 것이다. 특히 개발자들을 위한 API와 개발툴 개선에는 더욱 더 힘을 쏟을 것이다. 개발자들에게 있어 Android의 개발의 가장 큰 걸림돌이었던 수많은 크기와 resolution의 스크린들을 지원하고 검증해야 하는 문제를, 이번에 발표한 개발툴인 Android Studio를 통해 크게 개선한 것이 좋은 예다. 그러나 그와 동시에 Chrome, 특히 Android 용 Chrome의 중요성을 높여가며, 모든 Google 서비스들이 Android 뿐 아니라 웹에서도 잘 돌아가도록 개발할 것임도 확실해 보인다. 결국 궁극적으로 Google이 원하는 것은 'Android로의 천하통일'이 아니라, 'Google 서비스로의 천하통일'이기 때문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